청년 월세지원금은 2025년에도 ‘가장 체감도 높은 정부지원금’으로 꼽히는 제도 입니다. 월세 부담이 큰 1인 청년 가구를 위해 정부가 매달 최대 20만 원, 12개월 동안 총 240만 원까지 지원해주는 혜택인데요. 하지만 실제로는 자격 요건을 정확히 몰라 신청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부모와 세대를 분리하지 않았거나 임대차계약서에 본인 이름이 없는 경우, 또는 소득 기준을 잘못 이해한 경우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 청년 월세지원금의 최신 대상 기준, 신청 절차, 자주 틀리는 부분 을 하나씩 짚어보고, 실제 신청 시 놓치지 말아야 할 꿀팁을 정리했습니다. 올해는 더 이상 240만 원을 ‘모르고’ 잃지 않도록, 지금부터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① 지원 대상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청년 월세지원은 기존보다 지원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우선 만 19세에서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이 기본 대상이며, 단독세대주 또는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별도 주소로 거주 중이어야 합니다. 단, 미혼 청년이라도 주민등록상 부모와 세대 분리가 되어 있어야 하며, 전입신고일 기준으로 본인 명의의 임대차계약서가 있어야 합니다.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 150% 이하 로, 1인 가구 기준 약 월 328만 원 이하(2025년 기준)입니다. 연 소득으로는 약 3,930만 원 이하여야 하며, 총 자산은 1억 5천만 원 미만, 자동차는 3,500만 원 이하 차량만 인정됩니다. 단, 일정 금액 이하의 예적금이나 학자금 대출은 자산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임대료(월세)는 월 70만 원 이하인 주택이어야 하며, 월세 중 일부는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정부는 최대 20만 원을 12개월간 지원하지만, 지자체별 추가 지원이 있으면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은 ‘청년월세지원플러스’, 대구는 ‘청년안심주거지원’으로 추가 지원금을 제공합니다. TIP: 부모님과 같은 주소로...